본문 바로가기

Network

연결성 서비스와 비연결성 서비스 비교

반응형

연결성(CO) 서비스 VS 비연결성(CL) 서비스

상황 전송 방식
전송할 데이터 길 때 / 많을 때 CO 방식
전송할 데이터 짧을 때 / 적을 때 CL 방식
네트워크 상태가 좋을 때 (예: LAN) CL 방식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을 때 (예: WAN) CO 방식

 


연결성 서비스(Connection-oriented service)

 

"전송 계층의 TCP에서 사용됨"

 

장점

  • 상대방의 연결 상태(전송 속도, 버퍼크기)를 확인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전송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낮음
  •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신뢰성 높음

단점

  • 초기 연결 설정을 할 때 시간이 요구됨(초기 전송 지연 문제)
  •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 적을 때 연결 설정하는데 시간과 자원이 낭비됨

비연결성 서비스(Connectionless service)

"전송 계층의 UDP에서 사용됨"

 

장점

  • 초기 연결 설정을 할 때 시간이 요구되지 않음(초기 전송 지연 문제 해결)
  • 전송하는 데이터 양이 적을 때 유용

 

단점

  • 상대방의 연결 상태(전송 속도, 버퍼 크기)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높음
  •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신뢰성 낮음

 


TCP와 UDP 비교

 

TCP와 UDP 비교

구분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연결 방식연결성(CO: connection-oriented) 방식비연결성(CL: connectionless) 방식End-to-end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순서 제어, 에러 제어, 혼잡 제어, 흐

my-april.tistory.com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와 UDP 비교  (0)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