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oot 계정 네모칸 선택 후 비밀번호 full405를 입력한다.
2. 오른쪽 상단에 저거 눌러서 필요없는 거 접어주고 왼쪽 하단에 schemas 탭을 눌러준다.
그리고 Edit-Preferences를 눌러준다.

3. SQL Editor에서 Safe Updates를 체크 해제 해준다. 체크 해제를 안 하면 *로 한 번에 삭제가 안 된다.

4. 탭의 X 버튼을 눌러서 연결을 끊어준다.

5. MySQL을 설치하고 cmd창에서 test2 계정을 만들었었다.
그래서 test2 계정에 연결해보려한다.
플러스 버트을 눌러준다.

6. 연결 이름을 설정하고 Hostname은 IP주소인 127.0.0.1로 적어줘도 되고 localhost라고 적어줘도 된다.
그리고 Username은 test2라고 적어준 후 connection test를 눌러 비밀번호인 full405를 입력하여 연결 테스트에 성공하면 OK를 눌러준다.

7. 홈 화면으로 돌아와 root 계정에 다시 로그인한다.
8. use mysql;
create user test1;
alter user 'test1'@'%'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full405';
select host, user, authentication_string from user;
를 입력하여 test1 유저를 생성하고 비밀번호를 fulll405로 설정해준다.
9.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create database testdb1;
show databases;
을 입력하여 생성을 확인하고 왼쪽 SCHEMAS 탭에서 리플래쉬 화살표 모양을 눌러준다,
10. test1 유저에게 testdb1에 대한 권한을 주기 위해
show grants for 'test1'@'%';
grant all privileges on testdb1.* to 'test1'@'%';
를 입력한다.
그리고 test1 계정으로 연결해보면 왼쪽 SCHEMAS 탭에 testdb1이 추가되어있음을 볼 수 있다.
11. testdb1에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서 왼쪽 DCHEMAS 탭에서 testdb1의 Tables를 마우스 우클릭을 눌러 Create Table...을 눌러준다.

'Database >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Workbench로 외래키 설정하기 (1) | 2024.07.06 |
---|---|
MySQL 설치 (0) | 2024.07.06 |